본문 바로가기

사람人26

광해군의 외교 전략에서 오늘을 읽다 광해군일기[정초본]127권, 광해 10년 윤4월 21일 기묘 6번째기사 1618년 명 만력(萬曆) 46년 전교하였다."재자관(齎咨官)이 들어갈 때 ‘우리 나라는 세 곳의 변방을 방비해야 하는 만큼 스스로 지키기에도 겨를이 없다. 훈련되지 않은 외롭고 약한 군졸을 들여보내 중국 조정을 응원하게 한들 무슨 보탬이 되겠는가. 원컨대 노야(老爺)는 우리 나라의 사정을 깊이 생각하여 울타리만 굳게 지키도록 허락해 달라. 그러면 우리 나라의 강역을 스스로 지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세를 도우며 전후에서 응원하는 계책에 있어 혹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나라의 피폐한 병력이라도 왕사(王師)를 응원하러 보내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만 있다면 우리 나라가 어째서 감히 이런 말을 하겠는가.’라는 내용으로 말을 .. 2025. 4. 22.
조선 시대, 비를 부르기 위해 호랑이 머리를 던졌다? 세종 18년, 가뭄에 시달리던 조선1436년, 조선의 위대한 성군 세종은 즉위 18년째를 맞이하던 해였습니다. 그해 4월 20일, 심각한 가뭄이 나라를 덮쳤습니다. 논밭은 갈라지고 백성들은 타들어가는 땅 위에서 하늘만 바라봐야 했습니다. 이때 조정은 특별한 조치를 취했습니다. 바로 한강, 양진, 박연의 강물에 ‘호랑이 머리’를 넣는 의식을 거행한 것입니다.세종실록72권, 세종 18년 4월 20일 병진 3번째기사 1436년 명 정통(正統) 1년"가뭄으로 인하여 한강·양진(楊津)·박연(朴淵)에 호랑이 머리를 넣었다." 왜 하필 ‘호랑이 머리’였을까?고대 동아시아에서 호랑이는 강력한 수호신이자 악귀를 몰아내는 존재로 여겨졌습니다. 또한 물의 신이나 용에게 바치는 제물로도 쓰였습니다. 비가 오지 않는 상황에.. 2025. 4. 21.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곡우 곡우(穀雨)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로, 봄의 마지막 절기입니다. 한자어 그대로 풀이하면 "곡식 곡(穀)"과 "비 우(雨)", 즉 "곡식이 자라는 데 도움을 주는 봄비"를 의미합니다. 목차곡우 날짜곡우 의미공우 풍속과 관련한 문화곡우 계절적 특징마무리 곡우 날짜매년 양력 4월 20일 무렵이며,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위치합니다. 2024년 곡우는 4월 19일, 2025년은 4월 20일입니다. 곡우 의미곡우는 농사에 필요한 충분한 비가 내리는 시기로, 이때 내리는 비는 농작물의 생장을 돕고 풍년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져 매우 반가운 절기입니다. 곡우 이후에는 기온이 본격적으로 상승하여, 본격적인 농사의 준비를 하거나 모내기를 시작하는 시기로 여겨졌습니다. 곡우 풍속과 관련한 문화곡우.. 2025. 4. 19.
4.19혁명,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불꽃이 된 날, 그리고 오늘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4.19 혁명”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민주주의의 시작점이 바로 이 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이번 글에서는 1960년 봄, 대한민국 역사의 한 획을 그은 4.19 혁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배경 - 왜 사람들이 거리로 나섰을까마산에서 시작된 분노4월 19일 전국이 들끓다그 이후 -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시작마무리하며함께 생각해 보기관련 장소 배경 – 왜 사람들이 거리로 나섰을까1950년대 말, 이승만 대통령은 오랫동안 권력을 잡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정치는 독재적으로 변해갔고, 국민의 불만도 점점 쌓여갔습니다. 그러던 중, 1960년 3월 15일에 있었던 제4대 대통령 선거에서 부정선거가 벌어졌습니다. 이승만 정부.. 2025. 4. 17.
600여년 전 4월 17일, 여성의 출산휴가를 고민했던 세종 세종실록32권, 세종 8년 4월 17일 경진 4번째기사입니다. 형조에서 전지하기를, "경외 공처(京外公處)의 비자(婢子)가 아이를 낳으면 휴가를 백일 동안 주게 하고, 이를 일정한 규정으로 삼게 하라." 하였다. 해석: 경외 공처란 서울과 지방의 관청이나 공적인 기관을 의미합니다. 곧, 공노비가 아이를 낳으면 100일 간의 휴가를 보장한다는 내용인데, 흥미로운 것은 '일정한 규정으로 삼게 하라'입니다. 추가: 이는 종전에 7일간 주던 휴가에 비해 엄청나게 개선된 조치임. 세종 12년(1430) 10월 19일에는 産前 휴가로 또 한 달을 주도록 조치함. 세종 16년(1434)에는 남편인 官奴에게도 30일 간 휴가를 주도록 함. 목차조선시대에도 출산휴가가?세종의 복지 감각, 오.. 2025. 4. 16.
2025 4.19혁명 국민문화제 2025년 제13회 4·19혁명 국민문화제가 4월 12일(토)부터 4월 19일(토)까지 서울 강북구 일원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행사는 4·19혁명 65주년을 기념하여 자유, 민주, 정의의 가치를 되새기고, 전 세대가 함께 소통하는 화합의 장으로 마련되었습니다.​ 목차4.19혁명 국민문화제 주요 프로그램교통 및 주차 안내공식 누리집 및 문의 4.19혁명 국민문화제 주요 프로그램1. 전국 4·19 합창대회일시: 4월 12일(토) 오후 3시​장소: 국립4·19민주묘지​내용: 전국 아마추어 성인 합창단 11팀이 4·19혁명 정신을 담은 자유곡 경연​ 2. 4·19 연극제기간: 3월 28일(금) ~ 4월 19일(토)장소: 강북문화예술회관​내용: 강북 지역 청년 예술인과 극단들이 4·19혁명 등 민주화 운동을..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