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살이 부쩍 따뜻해지고, 바람에도 초록 향기가 실려오는 계절. 우리는 어느새 24절기 중 하나인 입하(立夏)를 맞이하게 됩니다. 이름처럼 '여름이 시작된다'는 뜻을 품은 이 절기는 자연과 사람 모두에게 계절의 전환을 알리는 소중한 시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입하의 의미와 그에 얽힌 풍속, 그리고 자연의 변화까지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목차
- 입하란
- 입하의 자연과 농촌 풍경
- 입하의 풍속과 전통 음식
- 입하를 느끼는 방법
- 마무리
입하란
입하(立夏)는 말 그대로 '여름이 시작되는 날'을 의미합니다. 24절기 중 7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45도에 도달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정해, 보통 양력으로는 5월 5일에서 7일 사이에 해당합니다. 이날을 기점으로 낮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고, 농촌에서는 모내기와 같은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됩니다. 계절의 여왕 5월답게 만물이 활기를 띠기 시작하는 때랍니다.
입하의 자연과 농촌 풍경
입하는 자연이 완연한 생동감을 드러내는 시기입니다. 보리밭은 고개를 숙이며 여물어가고, 산천은 연두에서 짙은 초록으로 물들며, 들판에는 모내기 준비가 한창입니다. 농사에서는 특히 중요한 시기로, 예전에는 입하를 전후해 기우제를 지내기도 했습니다. 비가 부족하면 올여름 농사가 걱정되기 때문입니다.
입하의 풍속과 전통 음식
조상들은 입하를 단순한 날짜가 아닌, 몸과 마음을 여름에 맞춰 준비하는 시기로 여겼습니다. 입하 무렵의 대표적인 풍속과 음식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입하茶 (입하차) : 입하 전후로 녹차 수확이 한창이라, 이 시기에 딴 찻잎으로 만든 입하차는 향이 진하고 맛이 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입하차는 몸을 맑게 하고 더위를 이길 기운을 북돋아준다고 믿었습니다.
2. 찰밥과 고기 음식 : 농사일로 바쁜 시기이기에 기운을 북돋우는 보양식도 먹었습니다. 특히 입하 날에는 찰밥에 삶은 달걀, 고기국을 곁들이는 집이 많았답니다.
입하를 느끼는 방법
바쁜 일상 속에서도 잠시 멈춰 서서, 입하의 감각을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
- 가벼운 산책으로 자연의 녹음을 느끼고,
- 녹차 한 잔으로 계절의 맛을 음미하며,
- 창밖을 바라보며 들리는 새소리에 귀 기울여 보시기 바랍니다.
입하는 자연과의 소통을 다시 시작하는 계절의 문입니다.
마무리
입하는 단지 여름의 시작이 아닌, 자연의 순환을 감각으로 받아들이는 시간입니다. 계절이 보내는 이 작은 신호에 귀 기울이며, 우리의 삶도 그만큼 풍성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사람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복되는 참사 앞에서] 우리는 과거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가-1995년 4월 28일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를 생각하며 (0) | 2025.04.27 |
---|---|
5월 1일 근로자의 날, 그 날의 역사와 우리가 알아야 할 이야기 (0) | 2025.04.27 |
실록(實錄), 천 년을 잇는 기록의 힘 (0) | 2025.04.26 |
소현세자의 비극, 조선의 운명을 바꾼 죽음 (0) | 2025.04.25 |
역사 속 ‘병역 기피’ 이야기 - 조선시대에도 군대 가기 싫었다고? (0) | 2025.04.23 |
광해군의 외교 전략에서 오늘을 읽다 (0) | 2025.04.22 |
조선 시대, 비를 부르기 위해 호랑이 머리를 던졌다? (0) | 2025.04.21 |
24절기의 여섯 번째 절기, 곡우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