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소개한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에서 총 12.2조 원의 예산이 편성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혜자별로 구체적인 지원 내용을 각 계층과 산업군이 어떻게 혜택을 받게 되는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산불 피해가구
1. 재해대책비
- 항만부: 구호금, 생계비 등 +6,000억 원
- 산림청: 긴급복구, 산림물품 구입 +1,740억 원
- 환경부: 폐기물 처리 등 +1,120억 원
2. 주택복구 지원
- 매입임대+1,520억 원 (산촌 주택 긴급 공급)
- 복구대출: +244억 원 (최대 1.49억 원/1.5%)
- 마을재생 신규: 80억 원 (특별재정 지원, 2개소)
소상공인
- 부담경감 크레딧: 최대 50만 원, 311만 명 대상 (총 1.6조 원)
- 희망리턴 패키지: 경영 컨설팅 + 재기 교육비 지원 (494억 원)
- 비즈카드 신규: 1,000만 원 한도, 6개월 무이자 (0.1조 원)
- 금융지원: 대출·보증 총 0.8조 원 (신규보증 + 추가보증)
수출기업
- 정책자금: 25.4조 원 규모 자금 공급
- 수출바우처: 최대 1,200만 원 지원, 4,768개 기업 대상
- 국내투자 인센티브: 유턴기업 지원비율 ↑,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 (396억 원)
소비자
- 상생 페이백: 결제 금액의 20% 환급, 최대 6만 원 (600만 명)
- 공공배달앱 할인: 2만 원 이상 주문 시 최대 1만 원 할인 (550만 명)
- 취약성환 환급: 온누리상품권 10% 할인 (645만 명)
AI 기업
- GPU 확보: H200·B200 등 고성능 GPU 1만장 구매 (1.5조 원)
- LLM 개발지원: 2천억 원, 국내 대형 언어모델 R&D
- 자금·사업화: AI 창업패키지, AI 전문 팁스 운영 (650억 원)
반도체 기업
- 인프라 구축: 0.2조 원 (첨단 R&D 지원지구)
- 기술·인재 개발: 487억 원 (공정·장비 개발, 특화대학 등)
- 기업투자지원: 3천억 원, 민간 투자 유도
취약근로자
- 체불임금 대지급: 임금 체불 시 국가가 대신 지급 (0.1조 원)
- 생활안정자금 융자: 저소득층 대상, 최대 2천만 원 융자 (214억 원)
금융취약계층
- 청년·대학생 소액금융: 150억 원, 1,200만 원 한도 융자 (3.3만 명)
- 최저신용자 보증: 최대 1,000만 원 보증 (3.7만 명)
정리
이번 추경은 말 그대로 "전방위적 지원"에 가깝습니다. 산불 피해자부터 AI 기업, 소비자, 소상공인, 금융취약계층까지, 누구도 소외되지 않도록 설계된 맞춤형 예산안입니다. 특히 체감도 높은 상생 페이백, 공공배달앱 할인, 소상공인 크레딧은 우리 일상과 직결된 정책이니 꼭 챙겨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추경관련하여 궁금하신 분은 아래 링크를 눌러보시기 바랍니다.
2025년 추가경정안예산안 발표! 12.2조원 어디에 쓰일까?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발표! 12.2조원 어디에 쓰일까?
기획재정부가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추경은 총 12조 2천억 원 규모로, 크게 재난 대응, 통상 및 AI 지원, 민생 안정 등 3대 분야에 집중 투자될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추
bulddong.com
'정보通'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종합소득세 총정리! (0) | 2025.04.22 |
---|---|
디지털관광주민증, 대한민국 구석구석 여행하고 혜택 받기 (0) | 2025.04.21 |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 발표! 12.2조원 어디에 쓰일까? (0) | 2025.04.18 |
2028학년도 대입 제도 이렇게 바뀝니다! (현 고1 대상) (0) | 2025.04.18 |
5월 종합소득세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세대원 소득공제 (0) | 2025.04.14 |
4월 14일 블랙데이, 다양한 할인 및 이벤트 (0) | 2025.04.11 |
제21대 대통령 선거 주요 일정(선거관리위원회 자료 발췌) (0) | 2025.04.08 |
제7회 공공데이터 분석활용 대회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