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人

단오: 음력 5월 5일,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전통 명절

by bulddong 2025. 5. 21.

단오는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 4대 명절 중 하나로,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는 시기를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날은 일 년 중 양기가 가장 강한 날로 여겨졌으며, 예로부터 질병과 액운을 물리치고 건강과 풍요를 기원하는 풍속이 전해집니다.

단오: 음력 5월 5일,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전통 명절

 

목차

  • 단오의 유래와 역사
  • 단오의 대표 세시풍속
  • 단오에 먹는 음식
  • 전국 대표 단오제 행사
  • 마무리: 단오, 전통을 되새기는 날

 

 

단오의 유래와 역사

단오는 본래 중국의 "단오절(端午節)"에서 유래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접어들면서 독자적인 세시풍속과 문화가 자리잡았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왕실과 백성 모두가 단오를 중요하게 여겼으며, 궁중 행사와 민속놀이가 함께 어우러졌던 명절입니다. 단오의 어원은

  • 단(端)’: 처음, 시작을 의미
  • 오(午)’: 다섯을 뜻하는 숫자와 뜻이 통하기도 하며, 십이지 중 ‘말(馬)’을 의미

즉, 단오는 ‘오(午)의 처음 날’, 다시 말해 음력 5월 5일을 의미합니다.

 

 

 

단오의 대표 세시풍속

1. 창포물에 머리 감기

단오 아침에는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아 더위와 부스럼을 막고 머리카락이 건강해지기를 기원했습니다. 창포 특유의 향은 해충을 쫓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2. 그네뛰기와 씨름

단오는 여성들이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는 날이기도 했습니다. 그네뛰기는 단오의 대표적인 여성 민속놀이로, 시집가기 전의 아가씨들이 높이 뛰어올라 건강과 복을 기원했습니다. 남성들은 씨름으로 힘과 기술을 겨루며 마을 잔치를 벌이기도 했습니다.

 

3. 단오 부적과 수리취떡

단오에는 부적을 붙이거나 붉은 실을 손목에 매는 풍속도 있었습니다. 이는 악귀를 막고 행운을 기원하는 상징적인 행위였습니다.

 

 

 

 

단오에 먹는 음식

1. 수리취떡

단오 음식 중 대표적인 것은 수리취떡입니다. 수리취라는 산나물을 이용해 만든 찰떡으로, 녹색의 향긋한 향이 여름철 입맛을 돋우어 줍니다.

 

2. 앵두화채

단오에는 앵두, 복숭아, 오미자 등 계절 과일을 이용한 화채를 즐겨 마셨습니다. 몸의 열을 식히고 갈증을 해소해주는 대표적인 단오 음료입니다.

 

 

 

전국 대표 단오제 행사

요즘은 단오를 문화행사로 계승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각 지역의 박물관이나 민속촌에서는 단오를 주제로 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전시가 열립니다.

 

1. 강릉 단오제 (강원도 강릉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강릉 단오제는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 최대의 전통축제입니다. 2025년에는 유네스코 등제 20주년을 기념하여 5월 27일부터 6월 3일까지 단오굿, 관노가면극, 씨름, 그네뛰기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립니다.

강릉단오제 누리집 바로가기 

 

2. 법성포 단오제 ( 전라남도 영광군)

국가무형문화재 제123호로 지정된 법성포 단오제는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포 일대에서 열리는 전통 민속축제입니다. 뱃사람들의 안전을 기원하는 용완제, 부녀자들이 중심으로 즐겼던 선유놀이, 풍등 날리기 등의 행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법성포단오제 누리집 바로가기

 

3. 평해 단오제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군 평해읍에서 열리는 평해 단오제는 지역 주민들이 주관하는 전통축제로 평해 단오 씨름왕 대회, 노래자랑, 축하공연, 남창동 줄타기, 윷놀이 대회, 품바, 별신굿, 프리마켓, 민속체험 전시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평해 단오제 기본정보 바로가기 

 

 

 

 

마무리: 단오, 전통을 되새기는 날

단오는 단순한 명절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풍요를 기원하던 마음이 담긴 날입니다. 오늘날 바쁜 일상 속에서도 단오의 의미를 되새기고, 가족과 함께 전통 문화를 체험해보는 시간을 가져시기를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