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滿

전염성 눈병 원인·증상·치료·예방 총정리

by bulddong 2025. 8. 29.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눈곱이 많이 끼면서 눈물이 흐른다면 전염성 눈병(결막염)일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이나 환절기에는 전염성 결막염이 집단으로 퍼지기 쉬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염성 눈병의 원인, 주요 증상, 전염 기간, 치료와 관리법, 예방 방법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전염성 눈병 원인·증상·치료·예방 총정리

 

 

전염성 눈병이란?

전염성 눈병은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결막염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달리 사람 간 전염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 바이러스성 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가 흔한 원인, 전염력이 매우 강함
  • 세균성 결막염: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 세균 감염으로 발생
  • 알레르기성 결막염과 달리 주변 사람에게 옮길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음

 

 

 

전염성 눈병 주요 증상 

  • 눈 충혈 및 화끈거림
  • 아침에 눈이 잘 안 떠질 정도로 눈곱이 심함
  • 눈물이 자꾸 흐르고 이물감(모래 낀 듯한 느낌)
  • 눈꺼풀 붓기, 빛에 민감(광선 공포)

👉 보통 한쪽 눈에서 시작해 다른 쪽 눈으로 옮겨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염성 눈병 원인

  1. 직접 접촉: 감염자의 눈을 만지거나 악수 후 눈을 비비는 경우
  2. 간접 접촉: 수건, 베개, 화장품, 렌즈케이스 공유
  3. 환경적 요인: 수영장, 목욕탕, 사람이 많은 곳

 

 

 

전염성 눈병 전염 기간

전염성 눈병은 증상이 시작된 후 약 7~14일간 전염성을 가집니다.

  • 직장이나 학교에서는 보통 3~5일 정도 결석/휴가가 권장됩니다.
  • 특히 어린이집·유치원은 전염성이 강하므로 의사 확인 후 등원이 안전합니다.

 

 

 

 

전염성 눈병 치료·관리법

  1. 안과 진료 필수
    • 세균성 결막염 → 항생제 안약
    • 바이러스성 결막염 → 특별한 항바이러스제는 없으며 대증 치료 진행
  2. 인공눈물 사용: 눈 건조함·이물감 완화
  3. 냉찜질: 붓기와 통증 완화
  4. 휴식: 스마트폰·컴퓨터 사용 줄이고 눈 쉬게 하기
  5. 콘택트렌즈 중단: 증상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사용 금지

 

 

 

전염성 눈병 합병증

대부분은 자연 치유되지만 방치하면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각막염: 시력 저하 위험
  • 만성 결막염: 재발 반복
  • 아이·노약자의 경우 회복이 늦고 합병증 위험이 높습니다.

 

 

 

생활 속 관리법

  • 일회용 인공눈물 사용 후 바로 폐기
  • 수건·손수건은 개인용으로 사용, 매일 고온 세탁
  • 화장 도구, 렌즈 케이스는 새것으로 교체
  • 눈은 절대 비비지 않기 (손을 통한 2차 감염 방지)

 

 

 

전염성 눈병 예방 방법

  • 손을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자주 씻기
  • 전염 유행 시기에는 수영장, 목욕탕 이용 자제
  • 면역력 강화: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사
  • 아이들 손 씻기 및 위생 교육 철저히

 

 

 

전염성 눈병 FAQ

Q. 전염성 눈병은 며칠이나 전염되나요?
👉 보통 1~2주 정도 전염력이 있으며, 증상 완화 후에도 며칠간은 전염이 가능합니다.

Q. 눈병 걸리면 꼭 병원 가야 하나요?
👉 네. 특히 눈곱·충혈이 심하거나 시력 저하가 동반되면 반드시 안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Q. 아이가 눈병에 걸렸는데 언제 등원해도 되나요?
👉 최소 3~5일은 집에서 쉬고, 증상이 완화된 뒤 의사의 진단 후 등원하는 게 안전합니다.

 

 

 

마무리

전염성 눈병은 가볍게 여길 수 있지만, 전염력이 강하고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빠른 치료와 올바른 생활 습관, 위생 관리만 잘해도 증상은 빠르게 호전됩니다. 혹시 눈이 충혈되고 눈물이 자주 난다면 지체하지 말고 안과 진료 꼭 받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눈병에 관련된 이야기를 하니 잠들지 못하여 눈이 충혈되는 영화 인베이젼이 생각납니다. 영화 한편 보며 여유로운 주말 되시기를 바랍니다. 인베이젼 정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