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通

산사태 위험지도 활용법 완전정복! [산림청 산사태정보 서비스 사용법]

by bulddong 2025. 6. 23.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미리 확인하고 안전을 지키고 싶으신가요?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사태 위험지도 서비스'를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산사태 위험 지역을 확인하고 대비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산림청 산사태정보서비스 사이트 를 100%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목차

  • 산사태 위험지도란?
  • 사이트 접속 방법 및 화면 구성
  • 사태 위험도 확인 방법
  • 부가 기능 활용 
  • 모바일에서 간편하게 확인
  • 이런 분들에게 추천
  • 마무리: 북마크 해두세요!

 

 

산사태 위험지도란?

산사태 위험지도는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전국 산림 지역의 산사태 위험도를 5단계 등급으로 색상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합니다.

  • 1~5단계 위험 등급 표시
  • 위치 기반 위험 분석
  • 실시간 지도 탐색 가능
  • 경사, 토양, 강우 조건 종합 분석

 

 

 

 

 

사이트 접속 방법 및 화면 구성

👉 접속 링크: https://map.forest.go.kr/forest/

화면 구성:

좌측 메뉴 검색 옵션(산사태/사방댐 등), 행정구역 검색
중심 지도 색상으로 위험도 등급 시각화
우측 정보창 위치정보, 속성정보 표시 (경사도, 토성 등)
범례(Legend) 각 등급별 색상 및 설명
 지도 확대/축소를 통해 특정 지역의 더 정밀한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태 위험도 확인 방법

  1. 검색창에서 지역 입력 (예: 강릉시, 평창군 등)
  2. 지도 상에 색상별로 표시된 지역 확인
    • 🔴 붉은색: 위험도 1~2등급 (매우 높음)
    • 🟡 노란색: 위험도 3등급 (보통)
    • 🟢 초록색: 위험도 4~5등급 (낮음)
  3. 클릭 시 상세 속성 확인 가능
    • 경사도, 토성, 강우 민감도 등 데이터 제공

 

 

 

 부가 기능 활용

  • 사방시설 위치 보기: 산사태 예방 시설 위치 확인 가능
  • 지도 인쇄 및 공유 기능
  • 공공기관용 데이터 다운로드 (shp, 속성데이터 등) – [로그인 필요]

 

 

 

 

모바일에서 간편하게 확인

스마트폰 브라우저에서도 동일한 URL로 접속 가능하며, GPS 기반 내 위치 산사태 위험도를 확인할 수 있어 등산 전 필수 코스!

 

 

 

이런 분들에게 추천

  • 주말마다 산을 찾는 등산객
  • 주택 주변에 산림이 있는 거주민
  • 지자체 및 학교에서 재난 예방 교육 자료로
  • 건축·토목 설계사무소에서 사전 입지 분석용

 

 

 

마무리: 북마크 해두세요!

산사태는 한 번 발생하면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를 줍니다. 산사태위험지도 를 자주 활용하여 미리 대비한다면,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링크를 즐겨찾기 추가해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