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通

주식 초보자를 위한 주식 아가방 5강 - 주식투자는 장기전, 장기 투자의 진짜 의미와 꾸준히 투자하는 방법

by bulddong 2025. 10. 13.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장기투자라고 하면 한 주식을 오래 들고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장기투자의 핵심은 “한 주식을 오래 들고 있는 게 아니라, 오랜시간 투자하는 것”입니다. 장기투자의 핵심은 ‘시간’이 아니라 ‘지속’인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장기투자의 의미와 꾸준히 투자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장기투자란 무엇인가?

장기투자는 단순히 한 종목을 오래 들고 있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투자를 오래 한다”, 즉 꾸준히 시장에 머무르는 것이 진짜 장기투자입니다.

 

1. 예시로 보는 현실

10년 전 시가총액 상위 1~10위 기업 중 7개는 현재 10위권 밖입니다. 지금 우리가 믿고 있는 대기업도 10년 후에는 모를 일입니다.


“삼성전자”나 “애플” 같은 기업의 성공은 결과론적 이야기일 뿐,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기란 불가능합니다.

 

 

 

 

꾸준히 투자하는 방법

많은 사람들이 주가가 오르면 사고 싶어 하고, 떨어지면 두려워합니다. 하지만 진짜 투자자는 반대로 행동합니다.

  • 주가가 하락하면 “내가 들어갈 기회”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 떨어질 때마다 조금씩 사 모으면, 평균단가가 낮아져 수익률이 안정됩니다.

 

 

 

복리의 마법 이해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복리는 인류가 만든 세계 8대 불가사의다.” 복리란, 이자나 수익을 다시 재투자하는 구조입니다. 예금을 하고 이자를 쓰는 대신, 그 이자를 다시 투자에 넣으면, 5~6년 후엔 원금이 두 배 이상 불어나는 마법이 일어납니다.

 

<복리의 핵심>

  • 수익금을 ‘소비’하지 말고 ‘재투자’하기
  • 장기적으로 시장에 머물며 기회를 놓치지 않기

 

 

 

 

투자자금이 없다고요? 소비습관부터 점검하세요

많은 사람들이 “투자할 돈이 없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소비습관이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소비 유형 4단계>

  1. 생존소비 – 생존에 필수적인 기본 지출
  2. 생활소비 –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합리적 지출
  3. 과소비 – 불필요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사용되는 필요 이상의 소비
  4. 중독소비 –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소비

이 중 과소비와 중독소비를 줄이는 것이 투자 시작의 첫걸음입니다. 요즘은 AI가 개인 패턴을 분석해 광고를 보여주기 때문에 우리는 의식하지 못한 채 소비의 함정에 빠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스스로의 소비패턴을 점검하고, “이번 달엔 ETF 한 주(약 4만원)만큼 소비를 줄이자”라는 구체적 목표를 세워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번주 과제

1. 자신의 과소비 지수 계산하기

2. 소비를 줄이고, 그 돈으로 ETF 떨어질 때 한주 씩 사기

 

 

 

마무리

장기투자는 한 종목을 붙잡는 끈기가 아니라, 시장에 오래 머무는 꾸준한 참여입니다. 주가의 오르내림에 흔들리지 않고, 복리의 힘을 믿으며 소비를 통제할 수 있다면 10년 뒤 여러분의 자산은 지금과 전혀 다를 것입니다. 전체 보기를 원하신다면 아래 2:04:16 부분부터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3hm5AXI6j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