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享

윤동주를 기억하는 방법, 영화 『동주』 리뷰 및 추천 - 실존 인물 기반 흑백 영화

by bulddong 2025. 5. 10.

이번 글은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윤동주 시인에 관심 있는 분
  • 일제강점기 역사 영화를 찾는 분
  • 감성적이고 철학적인 영화를 보고 싶은 분
  • 강하늘, 박정민 출연작에 관심 있는 분
  • 국내 명작 흑백 영화를 알고 싶은 분

윤동주를 기억하는 방법, 영화 『동주』 리뷰 및 추천 - 실존 인물 기반 흑백 영화

 

 

 

 

영화 『동주』 기본 정보 및 줄거리 요약

  • 영화 제목: 동주
  • 감독: 이준익
  • 주연: 강하늘, 박정민
  • 장르: 드라마, 전기, 역사
  • 개봉일: 2016년 2월 18일
  • 시청등급: 12세 관람가
  • 관람 시간: 110분
  • 촬영 방식: 흑백 영상

영화 『동주』는 시인 윤동주와 그의 사촌 형이자 독립운동가 송몽규의 청춘을 그린 흑백 영화입니다. 식민지 시대, 억압된 현실 속에서 ‘시’와 ‘행동’이라는 방식으로 저항했던 두 인물의 대비가 깊은 여운을 남깁니다. 영화 초반에 나오는 송몽규와 윤동주의 친구로 나오는 문익환 목사님도 반갑게 볼 수 있습니다. 

 

 

 

 등장인물 및 출연진 소개

  • 윤동주 역 – 강하늘
    내면의 고통과 부끄러움 속에서도 끝까지 시를 포기하지 않았던 청년 시인
  • 송몽규 역 – 박정민
    불의에 맞서 적극적으로 저항한 동주의 사촌 형이자 친구
  • 윤영석 역 – 김인우, 권혜경 역 – 최희서
    윤동주 시 낭독 – 신성일(특별출연)

 

 

 

 

영화 『동주』 속 명대사 BEST 3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윤동주의 시 「서시」의 첫 구절. 영화의 시작이자 핵심 가치.

“나는 시를 쓰는 것이 죄라고 생각해.”
침묵이 강요된 시대에 시조차 죄가 되는 현실을 담담히 고백한 대사.

“몽규야, 난 그냥 살아만 있어도 죄스럽다…”
윤동주의 내면을 드러내는 결정적인 순간.

 

 

 

이 영화를 이렇게 감상해 보세요

1. 흑백 화면으로 전해지는 진심

컬러 대신 흑백을 선택한 이준익 감독의 결정은 감정에 더욱 집중하게 만듭니다. 시대의 무게와 인물들의 고뇌가 깊게 다가옵니다.

2. 윤동주 vs 송몽규 – 문학과 행동의 대비

시와 독립운동, 두 개의 다른 방식으로 일제에 저항한 두 인물. 이 대비 구도가 영화의 핵심 메시지를 형성합니다.

3. 시대를 이겨낸 시인의 언어

영화는 윤동주의 시를 곳곳에 배치해 ‘문학이 가진 힘’을 자연스럽게 보여줍니다. 시를 좋아하는 이들에게 특히 깊은 울림을 줍니다.

 

 

 

 

 

마무리 추천의 말

영화 『동주』는 격동의 시기를 조용히 건너간 청춘들의 초상을 담담하게 그려냅니다. 감정을 과장하지 않기에 더 먹먹하고, 시처럼 조용히 가슴속에 남습니다. 윤동주의 시를 좋아하셨던 분들, 혹은 역사적 인물을 통해 오늘을 성찰하고 싶은 분들께 강력 추천드립니다.

 

 

 

보너스 Tip

  • 윤동주 문학관을 방문해서 시인 윤동주를 느껴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 영화 감상 전, 윤동주의 시 「서시」, 「참회록」, 「십자가」 등을 읽어보면 영화가 주는 감동이 더욱 깊어집니다.
  • 감상 후, 윤동주의 시집을 읽어보며 영화 속 인물들이 남긴 흔적을 따라가 보는 것도 또 하나의 여운이 될 것입니다.